본문 바로가기
DS.

돔과섭의 관계에서 서로에게 타오른다는 것.

by samasm 2023. 1. 20.

우리는 일상생활속에서 아주 평범하게,

아주 자연스레 다른이들과 함께하며 어제도,내일도

그리고 현재에도 충실함을 바탕에두고 살고 있습니다.



돔과섭의 관계는 우리의 중요한 일상생활의 다음이자

이 생활의 활력이 되는 부분이 되어야 하는 것이 맞고

이것을 뛰어넘서 자신의 일상까지 망가뜨려서는 안되는 일 입니다.



간혹,

sm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나,

이것에 대한 경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사람을 만났다고해서 들뜬마음, 새로운 마음의 표출이

바르지 못한 방향으로 전개가 되어 서로에게 불필요한 관심이상을 보일때가 있을때



우리는 이것을 타오름이라 생각하지않고

경계해야하는 신호로 간주 할 줄 알아야 합니다.



한없이 뜨거워지는 사람의 마음은 그 영원성이라는 측면에서 보았을때

불확실성으로 전개 될 확률이 크기 때문인데요.



누구나, 타오름을 가질 수 있고

그것을 바탕으로 최선을 다 할수 있는 원동력이 될수도 있는 것이지만

뭐든지 항상 적절한 감정의 조절을 바탕에 두었을때

오히려, 그 타오름보다 더 깊은 마음을 나눌 수 있을거라고 생각을 해요,.



상대를 생각하는 기쁜마음과 들뜬 마음을

전혀 배제 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간혹 아주 들뜬 마음으로 상대에게 달려가기도 하고

그러한 너를 위해 내 마음을 전달 함에 있어

순간의 타오름, 거짓이 아니기만 하면 되는 그러한 순간의 타오름도 필요할거에요.



하지만, 이 감정의 끓어오름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했을때에

나의 입장, 혹은 상대의 입장에서 순식간에 타올랐던 그 마음이

배신감이나, 서운함, 경솔함으로 돌아오거나

내 자신이 상대에게 그렇게 비춰질수도 있다는 부분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연인관계에서도 이 감정의 조절 여부에따라 연애의 시간이

길고 짧아지는 것이 결정이되는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해요.

저는 sm에서는 나름 경험이 있는 사람이지만,

연애의 부문에서는 학원을 다녀야 할 입장이라

이 부분에서는 특별한 조언의 글을 적기가 어렵지만,



사람의 감정의 조절이라는 것은 쉽지 않듯이

우리는 이것을 잘 알고있으면서도

내 마음에 꼭 드는 상대를 만났을때

하루라도 더 빨리 보고싶고, 함께하고 싶고

챙겨주고 싶어하는 것이 사람의 당연지사인 마음일거에요.



누군가를 위해 타오른다는 것은

흔하게 있는 일도 아니고

쉽게 내어주는 마음의 감정도 아닙니다.



다만, 나의 타오르는 마음이 상대에게 바르게 전달이 되어

그 타오름만큼의 값어치로 내게 되돌아 오느냐,

설사 그 댓가를 바라지 않고 내어준 내 마음일지라도

사람의 감정교환에도 주고받음이라는 것이 존재하듯이

나 혼자서 바보처럼 너무 많은 것을 내어주고

상대만을 바라보는 것은 현명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내 마음에 대한 댓가를 계산해야 하느냐

아니면 얼마만큼의 마음의 주고받음을 측정해야 하느냐,



마음의 주고받음에는 댓가 와 측정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잘 알고있는 우리는.

내 마음을 너에게 건네주었을때, 그것만으로도 기분좋은 일이라는 것이

함께하고 있는 이유이며,

그 함께하는 이유를 아는 사람이라면

서로에대한 감정의 측정치를 논 할 필요도 없이

우리는 이미 함께 웃고 있을 것 입니다.



누군가를 위해 타오른 다는 것은

값진 일 입니다.

그리고, 상대방은 당신의 타오르는 마음을 잘 알고있습니다.



당신의 타오르는 마음이 바르고 바르지 않다는 점은 지적당 할 일이 아닙니다.

상대를 향한 진실의 마음,

그것을 알고있는 너의 마음,



그것의 합이 하나로 되었을때,

우리는 마음이 아프지 않고 함께 웃고 함께 하는,

아주 평범하면서도 아주 어려운

일상의 버팀목 같은 서로의 존재이유가 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