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인한 쾌락 - 권력의 성애화
SM문화와 예술
이선영(미술평론가)
1) 사디즘과 마조히즘; 소유와 계약
프 로이트는 성적인 생활에서는 사랑과 증오의 양가감정이 흔히 발견된다고 말한다. 그것은 흔히 사디즘이나 마조히즘으로 나타난다. 크라프트-에빙은 1886년 성적 도착으로서 사디즘과 마조히즘이라는 신조어를 창시하였다. 그는 사디즘은 이성을 잔인하고 난폭하게 다루고 싶어하는 충동이며, 그런 행위에 대한 생각을 음탕한 감정으로 채택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 리고 마조히즘은 무조건 지배되고 있거나, 그 사람에게 굴욕과 학대를 당하고 있다는 생각에 지배받는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에빙이 제시한 바, 남성이나 여성이 기존의 성적, 계급적 역할을 거꾸로 하여 성적 쾌감을 얻는다는 생각은 아주 참신한 견해였다.
에빙은 성욕 도착이 능동적인가에 따라 사디즘과 마조히즘을 나눈 것이다. 프로이트는 에빙을 따라서, 사디즘에 보완적인 본능인 마조히즘은 주체에게 되돌아온 사디즘이라고 보았다. 기본적으로 새디스트는 동시에 매저키스트이기도 하다(프로이트) 프로이트의 모델은 공격적인 사디즘과 자신에게로 역전된 사디즘인 매저키즘적 경험을 제시한다. 프로이트는 [문명 속의 불만]에서, 사디즘은 사랑의 본능과 파괴본능이 뒤섞인 것이고, 이와 반대되는 마조히즘은 내면으로 돌려진 파괴본능과 성욕의 결합이라고 말한다. 사디즘과 마조히즘은 모두 에로티시즘과 강하게 결합된 파괴본능의 발현이다.(각각 외부와 내부로 돌려진 파괴본능) 린 챈서는 지배적인 사디즘과 매저키즘을 성에 국한시키지 않고, 한 사람이 세계와 관계하는 상호작용의 원초적인 형태를 가리킨다고 본다.
그것은 [정신현상학]에서 헤겔이 묘사한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과 유사하다. 질 들뢰즈는 마조히즘을 연구한 저서에서 사디즘은 타인의 고통에서 쾌감을 얻으며, 마조히즘은 쾌감의 필수적인 전제 조건으로서 스스로 고통을 겪는다고 말한다. 그에 의하면 사디즘은 양적 되풀이에 의해 작용하며, 마조히즘은 질적 긴장감에 의해 작용한다. 사디스트에게는 특유의 마조히즘이 있으며, 마조히스트에게도 특유의 사디즘이 있다. 일상적 경험세계에서는 양자간의 조합된 예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가시관을 쓰고 수난을 당하는 예수는 사디즘과 마조히즘적인 반응을 둘 다 야기 할 수 있다. (버니 볼로) 바타이유는 마조히즘은 주체의 잔인성이 주체에게 돌아가는 극단성을 빼면 결국 사디즘의 극단적인 형태로 봐도 좋다고 본다.
이선영(미술평론가)
1) 사디즘과 마조히즘; 소유와 계약
프 로이트는 성적인 생활에서는 사랑과 증오의 양가감정이 흔히 발견된다고 말한다. 그것은 흔히 사디즘이나 마조히즘으로 나타난다. 크라프트-에빙은 1886년 성적 도착으로서 사디즘과 마조히즘이라는 신조어를 창시하였다. 그는 사디즘은 이성을 잔인하고 난폭하게 다루고 싶어하는 충동이며, 그런 행위에 대한 생각을 음탕한 감정으로 채택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 리고 마조히즘은 무조건 지배되고 있거나, 그 사람에게 굴욕과 학대를 당하고 있다는 생각에 지배받는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에빙이 제시한 바, 남성이나 여성이 기존의 성적, 계급적 역할을 거꾸로 하여 성적 쾌감을 얻는다는 생각은 아주 참신한 견해였다.
에빙은 성욕 도착이 능동적인가에 따라 사디즘과 마조히즘을 나눈 것이다. 프로이트는 에빙을 따라서, 사디즘에 보완적인 본능인 마조히즘은 주체에게 되돌아온 사디즘이라고 보았다. 기본적으로 새디스트는 동시에 매저키스트이기도 하다(프로이트) 프로이트의 모델은 공격적인 사디즘과 자신에게로 역전된 사디즘인 매저키즘적 경험을 제시한다. 프로이트는 [문명 속의 불만]에서, 사디즘은 사랑의 본능과 파괴본능이 뒤섞인 것이고, 이와 반대되는 마조히즘은 내면으로 돌려진 파괴본능과 성욕의 결합이라고 말한다. 사디즘과 마조히즘은 모두 에로티시즘과 강하게 결합된 파괴본능의 발현이다.(각각 외부와 내부로 돌려진 파괴본능) 린 챈서는 지배적인 사디즘과 매저키즘을 성에 국한시키지 않고, 한 사람이 세계와 관계하는 상호작용의 원초적인 형태를 가리킨다고 본다.
그것은 [정신현상학]에서 헤겔이 묘사한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과 유사하다. 질 들뢰즈는 마조히즘을 연구한 저서에서 사디즘은 타인의 고통에서 쾌감을 얻으며, 마조히즘은 쾌감의 필수적인 전제 조건으로서 스스로 고통을 겪는다고 말한다. 그에 의하면 사디즘은 양적 되풀이에 의해 작용하며, 마조히즘은 질적 긴장감에 의해 작용한다. 사디스트에게는 특유의 마조히즘이 있으며, 마조히스트에게도 특유의 사디즘이 있다. 일상적 경험세계에서는 양자간의 조합된 예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가시관을 쓰고 수난을 당하는 예수는 사디즘과 마조히즘적인 반응을 둘 다 야기 할 수 있다. (버니 볼로) 바타이유는 마조히즘은 주체의 잔인성이 주체에게 돌아가는 극단성을 빼면 결국 사디즘의 극단적인 형태로 봐도 좋다고 본다.
'sm scrap II'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tention, 감금 (0) | 2014.01.02 |
---|---|
펨섭과의 의사소통 (0) | 2014.01.02 |
BD,D/S,SM의 차이점 (0) | 2014.01.02 |
BDSM 관계가 학대가 아닌 이유 (0) | 2014.01.02 |
지배와 복종의 규칙 (0) | 2014.01.02 |